맨위로가기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1972년 유신 헌법 공포 이후, 대통령과 국회의원 일부를 간접 선출하고 헌법 개정 및 통일 정책 의결 권한을 부여받는 통일주체국민회의를 구성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972년 12월 15일, 70.4%의 투표율로 2,359명의 대의원이 선출되었으며, 소선거구제와 중선거구제가 병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선거 운동은 엄격히 제한되었고, 관 주도로 이루어져 여당 후보만으로 구성되었다는 비판이 있었다. 선출된 대의원들은 제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를,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등 통일주체국민회의의 활동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대한민국의 선거 - 대한민국 제3차 국민투표
    대한민국 제3차 국민투표는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이 유신헌법에 대한 찬반을 묻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92.3%의 찬성률로 통과되었으나 권위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자유로운 의사 표현 억압과 정부의 선전 및 감시로 인해 민주주의 후퇴를 가져왔다는 비판이 있다.
  • 대한민국 제8대 대통령 선거 - 통일주체국민회의
    통일주체국민회의는 유신헌법에 의해 대통령 선출, 국회의원 추천, 헌법 개정안 의결 등의 기능을 수행한 헌법기관이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장기 집권 도구로 활용되었다는 비판을 받으며 1972년부터 1980년까지 존속했다.
  • 통일주체국민회의 - 곽상훈
    곽상훈은 독립운동과 정치 활동에 헌신한 인물로, 3·1 운동 참여, 상해한인청년동맹 및 신간회 활동 등 독립운동에 기여했으며 해방 후에는 5선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 국회의장 및 대통령 권한대행을 역임했으나, 5·16 군사정변 이후 정치적 입장을 바꾸어 복잡한 삶을 살았다.
  • 통일주체국민회의 - 유신정우회
    유신정우회는 박정희 대통령의 주도하에 결성되어 국민회의 추천 의원들로 구성되었으며, 정권의 국회 장악 수단으로 기능하다 박정희 대통령 암살 후 해체된 대한민국의 정치 조직이다.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선거 정보
국가대한민국
선거명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선거일1972년 12월 15일
선거 후박정희
유형의회
직책대통령
투표율70.4%
선출 의석2,359석
차기 선거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차기 선거 연도1978
정당별 의석
무소속2,359석

2. 배경

1971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를 상대로 신승한 후, 박정희는 정권 유지에 불안을 느끼고 보다 안정적인 집권을 꾀하기 위해 유신 헌법을 선포한다.[5]

유신 헌법은 대통령과 국회의원(유신정우회) 일부를 간접 선출하고, 개헌 및 통일 정책 의결 등의 권한을 통일주체국민회의에 부여했다. 통일주체국민회의는 선거로 구성하도록 규정되었다.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는 비상조치를 통해 국회와 정당을 해산시키고 야당의 활동을 억압한 상태에서 유신 헌법을 통과시켰고, 이에 따라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가 서둘러 이뤄지게 되었다.[1]

3.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1972년 11월 25일에 공포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법에 따라 실시되었다. 주로 관변 단체 인사나 지역 유지들이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투표율은 70.4%를 기록했다. 총 2,359명의 대의원이 선출되었고, 입후보자는 5,876명으로 경쟁률은 평균 2.5:1이었다.[7] 박영출 전 의원과 김태선서울시장은 낙선했다.[8]

3. 1. 선거 제도

1972년 11월 25일에 공포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법에 따라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6]

  • 피선거권: 30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입후보 요건: 선거구 내 주민등록 유권자 300명 이상의 추천[6]
  • 정수: 2,359명[6]
  • 선거구: 1,630개 (소선거구제 및 중선거구제 병립)[6]
  • 선거 방식: 기호식 투표 (후보자 1명에게만 투표)[6]


선거 운동은 엄격하게 제한되었으며, 사실상 관 주도로 이루어져 여당 후보 위주로 구성되었다.[6]

3. 2. 선거 결과

1972년 12월 15일에 실시된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투표율 70.4%, 총 2,359명의 대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225명은 무투표 당선이었다. 입후보자는 5,876명으로, 경쟁률은 2.5:1이었다.[7] 주로 관변 단체 인사나 지역 유지들이 출마하여 당선되었다.[7]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지역별 결과[6]
지역의석수유권자 수투표 수 (%)유효투표 수 (%)
서울3033,113,7671,773,454 (57.0%)1,702,369 (96.0%)
부산104941,884642,641 (68.2%)622,823 (96.9%)
경기2801,664,4471,154,711 (69.4%)1,123,083 (97.3%)
강원145788,276629,915 (79.9%)613,395 (97.4%)
충북127602,554461,547 (76.6%)447,557 (97.0%)
충남2311,278,743924,874 (72.3%)900,402 (97.4%)
전북2001,092,516838,211 (76.7%)810,011 (96.6%)
전남3121,636,3821,174,364 (71.8%)1,138,441 (96.9%)
경북3541,970,6471,507,092 (76.5%)1,457,409 (96.7%)
경남2781,339,5831,038,388 (77.5%)1,009,869 (97.3%)
제주25170,818138,596 (81.1%)135,242 (97.6%)
2,35914,599,61710,283,793 (70.4%)9,960,601 (96.9%)



당선인 중에는 구자경 럭키화학 사장, 김종희 한국화약 사장, 박두병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배우 신영균, 곽상훈민의원의장, 강대진 영화감독, 서경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장, 조중훈 전경련 부회장, 장덕조 작가, 김일환교통부 장관, 아나운서 강영숙, 임영신상공부 장관, 김두만공군참모총장, 김윤기건설부 장관, 박경원내무부 장관, 박영수부산시장 등 여러 유명 인사들이 포함되었다. 반면, 박영출 전 의원과 김태선서울시장은 낙선했다.[8]

3. 3. 당선인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70.4%의 투표율을 기록했으며, 총 2,359명의 대의원을 선거하였다. 입후보자는 5,876명으로 경쟁률은 평균 2.5:1을 기록, 역대 모든 국회의원 선거보다 낮았다.[7]

주요 당선인은 다음과 같다.[8]

이외에도 이활 전 의원, 엄대섭 전 의원, 기세풍 전 의원, 허창성 삼립식품 사장, 전숙희 작가, 박경원내무부 장관, 박동규 전 재무부 장관, 박영수부산시장, 이창근 전 강원도지사, 이기세 전 충청남도지사, 박윤종 전 광주시장, 김연주 전 남북적십자회담 수석대표가 있었다.[8]

4. 통일주체국민회의의 활동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는 제8대 대통령과 1·2기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박정희제8대 대통령 선거에서 단독 출마하여 9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9][10] 통일주체국민회의1973년 3월 7일1976년 2월 16일 두 차례에 걸쳐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선출했다.[11][12][15][16]

4. 1. 제8대 대통령 선거

제8대 대통령 선거는 1972년 12월 23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실시되었다. 박정희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9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효표는 2표였다.[9][10]

1972년 12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은 대의원 515명의 추천을 받아 단독 입후보하였다.[9]

대통령은 재적 대의원의 과반수를 득표해야 했으므로, 당선 요건은 2,359명 중 1,180표 이상을 득표하는 것이었다. 12월 23일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1차 회의에서 박정희 대통령은 재적 대의원 과반수를 넘는 2,357표를 받아 제8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되었다.[10]

제8대 대통령 선거 결과
후보득표%비고
박정희2,35799.9당선
무효표20.1
재적2,359100


4. 2. 유신정우회 선출

1973년 3월 5일, 박정희 대통령은 제1기 간선 의원 후보 73명과 예비후보 14명을 일괄 추천하였다. 통일주체국민회의3월 7일 제2차 집회에서 명단 전체에 대한 찬반 투표를 진행해 통과시켰다.[11][12] 투표는 재적 대의원 2,359명 중 2,354명이 참여하여 99.8%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13]

국민회의는 95.6%의 압도적인 찬성율로 박정희 대통령이 추천한 국회의원 후보들을 승인하였으며, 이때 당선된 간선 의원들은 3월 10일 유신정우회라는 원내 교섭단체를 결성하고 3월 12일 제9대 국회의 개원과 동시에 취임하였다. 이들은 앞서 2월 27일 직선제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민주공화당 의원들과 함께 박정희 정부의 여당으로 활동했다. 간선 의원 당선자 73명 중 김종필 전 총리를 포함한 29명은 민주공화당 당적 보유자였으나, 당선 후 유신정우회 가입을 위해 탈당했다.[14]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결과
찬성반대무효투표수불참재적 대의원수
서울229203012303
부산95711031104
경기274422800280
강원1351001450145
충북125201270127
충남226502310231
전북1871032000200
전남2971133111312
경북3351353531354
경남2531872780278
제주250025025
합계2,25182212,35452,359


4. 3. 제2기 유신정우회 선출

1976년 2월 14일, 박정희 대통령은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제2기 유신정우회 의원 후보 73명과 예비후보 5명의 명단을 제출했다. 이 중 50명은 1기 의원이 재추천되었고, 23명은 새로운 인물로 교체되었다.[15]

1976년 2월 16일, 대의원들은 시·도별로 모여 제3차 회의를 열고 간선 의원들에 대한 일괄 찬반 투표를 실시했다.[16] 당시 대의원 정수 2,359석 중 56석이 사퇴 및 사망으로 공석이었고, 재적 대의원 2,303명 중 3명은 해외 체류, 11명은 와병으로 불참하여 2,289명이 투표에 참여했다.[17]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찬성반대무효투표수불참재적 대의원 수
서울287022893292
부산99111010101
경기269012702272
강원142001421143
충북122001220122
충남219022211222
전북196001962198
전남301203032305
경북348103491350
경남267412722274
제주240024024
합계2,274872,289142,303


참조

[1] 문서 헌법 개정안에 대한 찬반 운동 금지 및 선거 관리 위원회의 계몽 운동만 시행, 엄격한 감시 하에 투표 진행
[2] 문서 대통령 후보 출마 조건: 통일 주체 국민 회의 대의원 200명 이상의 추천 필요
[3] 문서 지역구 의원 임기 6년
[4] 웹사이트 三年制議員73명 大統領推薦대로選出(三年制議員73名大統領推薦通りに選出)国民会議地域別表決状況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73-03-07
[5] 뉴스 유신헌법은 무엇이었나… 초헌법적 긴급조치, 삼권분립 부정, 세계사적 ‘헌정 파괴’ http://news.khan.co.[...] 2012-08-31
[6] 웹사이트 선거정보도서관 http://elecinfo.nec.[...] 2018-10-09
[7]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3-12-06
[8]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3-12-06
[9] 웹인용 [포토섹션]정권 ‘거수기’ 역할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첫 선거 http://photo.heraldc[...] 2018-10-09
[10] 뉴스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 2018-10-09
[11] 웹인용 통일주체국민회의선출. 의원후보73명공고. 박대통령일괄추천으로 국민회의사무처서 https://www.joongang[...] 2019-04-04
[12] 뉴스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 2018-10-09
[13]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18
[14]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5-17
[15] 웹인용 유신정우회 2기 의원 새 후보는 23명 https://www.joongang[...] 2019-04-04
[16] 뉴스 유신정우회 2기 의원 73명 당선확정 http://www.joongang.[...] 2018-10-09
[17]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